2022. 8. 17. 00:01ㆍ카테고리 없음
부동산중개업은 부동산유통시장의 핵심으로 그가 지닌 경계직 위치와
역할, 즉 기능은 중요하다. 부동산중개업이 지니고 있는 경제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꾀- 같다.
첫째 부동산중개업은 부동산의 정상가격이 성립하게 히는 가격창조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시장경제 체제의 아래에서 가격은 곧 소비자와
생산자의 활동을 결정지어 주는 핵심적 메카니즘이다. 부동산중개업은
부동산 시장의 동향과 부동산 중개업자의 역할 27
이러한 핵심적 메케니즘이 지니는 경제적 작용을 어떻게 하면 원하게
할 수 있을까 히는 문제에 대한 해결의 기능융 가지고 있다.
둘째 부동산중개업은 부동산의 질과 양을 조절해 주는 기능을 지닌
다. 부동산중개업소를 통한 일정한 부동산은 비로서 그 부동산을 생산
한 비용이 적정한 투자요소를 지나고 있는가 판명된디-. 따라서 투자효
율이 높은 상품은 그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이고, 투자효율이 낮은
상품은 그 양이 상대직으로 감소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부동산
상품의 질적인 면에도 그대로 적용된디-.
셋째,부동산 중개업을 통해 부동산 재희,가 일반수요자(국민)에게
배분된다. 따라서 부동산 중개는 지■원배분의 기능을 지닌다. 오늘날
모든 경제재는 그것이 공급으로 부터 수요자에게 원활히 공급될 수
있을 때 유통구조의 낙후로 인한 가격앙등 등을 막을 수 있다. 부동산
중개는 위와 같이 그것이 공급자로부터 수요자에게 필요한 부동산을
전담해주는 체계이기 때문에 부동산 배분이리는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
넷째, 부동산 중개업은 부동산 유통시장에 있어 정보의 제공기능을
지닌다. 부동산 중개업소를 통해서 가격, 상품 가운데 유통력이 높은
것과 그렇지 못한 것,개발투자효율, 신상품의 시장성등 수많은 부동산
정보를 알 수 있디-. 즉,부동산 중개업은 여러가지 부동산 활동에 있어
갖가지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위와 같이 부동산 중개업은 중요한 경제적 기능을 지니고 있다 다
만, 이와 같이 중요한 기능이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을까의 여부는
부동산 중개업계를 상대히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인식, 중개업계의 노
력, 제도적 뒷받침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겠다.
3. 不動産 環境變化에 따른 仲介業者의 役割
오늘날 부동산환경은 여러가지 먼에서 변화하고 있다. 이미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부동산 값은 매우 높은 수준에 있다.
그리고 부동산 중개를 위한 제도적 환경은 오늘날 부동산 관련 법규의
28 부동산학보
대량제정으로 점차 복잡한 양상을 띠어가고 있다
급변히는 부동산 유통시장에 있어 부동산 환경은 중개대상물의 외적
인 면에서 중요한 것이고보면 중개업자에게 요구하는 사회적 의무감,
서비스업의 국제간 개방물결에 대응해야하는 절바한 현실에 처해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앞에서 부동산중개업자의 사회. 경제적 위치와 그 역할에서
볼 수 있듯이 오늘날 부동산 중개업자가 그 본래의 위치와 역할을 다하
려면 변화된 오늘의 환경에 잘 적응해야 하고 또한 전문적 자질을 성숙
시켜 능동적으로 잘 적응해 갈 수 있어야 한다.
즉, 전문적 자질을 갖고 부단한 노력과 중개업자간의 단합되고 성숙
된 노력을 통해서만이 오늘날 우리나라 부동산업계 안고 있는 부동산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이와같은 노력이 미비하다고 할 수 있디-. 이러
한 미비한 현실은 우리 중개업자가 내부적으러 안고 있는 자질의 문제
도 문제이련이와 이와 함께 부동산중개업자를 육성하는데 있어 직접적
으로 관할하는 관계부처의 노력이 너무 소극적인데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예켄데 일본, 미국, 영국등 외국에 비해 너무나 미약한 상태
임을 알 수 있다.
이제 21세기가 얼마남지 않은 현실에서 서두에서 이미 문제점올 지적
한바 있는 우리나라 부동산시장에서 중개업의 영세성,비전문성, 사회로
부터의 차가운 시선 등에 대하여 정당한 계몽운동 한번 해보지 못하는
단체의 무기력성 등을 그대로 방치할 수 없을 것이다.
일본 부동산업자의 사회. 경제적 지위는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볼때
높다 하겠다.〈그림2,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자본의 비중이 적음
에도 불구하고 매상고 경상 이익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그 현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부동산업은 제조업. 도소메업,
써비스업에 비해 자기자본이 적게 드는 업종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투하된 지-기자본에 대한 경상수익율은 다른 업종에 비해 가장 높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높은 수익률은 결국 중개업자의 사회적, 경제적
부동산 시장의 동향과 부동산 중개업자의 역할 29
위치와 중개업무의 써비스질 및 업자의 역할 등을 쉽게 짐작할 수 있
다.